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1

[Python] n진수 변환 정리 n진수 -> 10진수 int() 함수 형식과 사용은 아래와 같다. # 형식 int(string, base) # 사용 int('101',2) # 5 int('202',3) # 20 int('303',4) # 51 int('404',5) # 104 int('505',6) # 185 int('ACF',16)# 2767 10진수 -> 2,8,16진수 bin(), oct(), hex() 함수 bin(11) # 0b1011 oct(11) # 0o13 hex(11) # 0xb 10진수 -> n진수 함수가 없기에 코드작성이 필요. def solution(n, q): rev_base = '' while n > 0: n, mod = divmod(n, q) rev_base += str(mod) return rev_base[.. 2021. 9. 13.
[DB] DDL, DML, DCL 용어 정리 DDL : Data Define Language 스키마/도메인/테이블/뷰/인덱스를 정의/변경/제거할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 테이블을 생성하고, 테이블 내용을 변경하고, 테이블을 없애버리는 것. CREATE, ALTER, DROP 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 Query(질의)를 통해서 저장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한다. 테이블 안의 데이터 하나하나를 추가하고 삭제하고 수정하는 것. INSERT, DELETE, UPDATE DCL : 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관리 목적으로 보안/무결성/회복/병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데 사용한다. COMMIT, ROLLBACK, GRANT, REVOKE COMMIT : Transaction의 변경 내용을 최종 반.. 2021. 9. 7.
기업들의 데이터플랫폼 구축사례 하둡에코시스템을 기반으로 데이터파이프라인을 구축할때 너무나 많은 오픈소스가 있어 어떤식으로 구축하는것이 일반적인지 추세를 알기위해 사례를 모아봤다. 데이터플랫폼 구축 사례 Kafka Airflow Hive Spark Tableau Zeppelin 구축이 일반적이며 추가로 실시간 빅데이터 쿼리엔진으로 Presto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더불어 Tableau를 대체할 무료 시각화툴로 Superset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토스팀에 데이터가 흐르게 하는 데이터 플랫폼 팀을 만나다 - 하둡(Hadoop) 시스템과 Hive, Impala, Spark, kafka 쿠팡 데이터 플랫폼의 진화 - Kafaka, Airflow, Hive, presto, Tableau, Zeppelin, Hue LINE 광고 .. 2021. 9. 7.
Axios란 axios란 Axios는 브라우저, Node.js를 위한 Promise기반의 HTTP 비동기 통신 라이브러리 자바스크립트 내장라이브러리 fetch-api 와 비교하여 설명해보자 axios fetch 요청 객체에 url이 있다. 요청 객체에 url이 없다.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로 설치가 필요 현대 브라우저에 빌트인이라 설치 필요 없음 XSRF 보호를 해준다. 별도 보호 없음 data 속성을 사용 body 속성을 사용 data는 object를 포함한다 body는 문자열화 되어있다 자동으로 JSON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된다 .json()메서드를 사용해야 한다. HTTP 요청을 가로챌수 있음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음 문법이 fetch에 비애 간소화되고 확장성이 좋아 axios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2021. 9. 6.
컨테이너와 도커, 쿠버네티스 가상머신(The Virtual Machine)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라는 소프트웨어 조각이 가상 디스크,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가상 CPU 등을 포함하는 가상화된 하드웨어를 생성합니다. 가상머신에는 이 가상 하드웨어와 소통하는 게스트 커널 또한 포함되어 있습니다. 컨테이너 호스트 OS상에 논리적인 구획(컨테이너)을 만들고,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하나로 모아, 마치 별도의 서버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따라서 컨테이너는 가상머신과 다르게 가상OS가 없고 동일한 운영체제 내 독립적 공간에서 실행되어 오버헤드가 적습니다. 도커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컨테이너를 스케줄링/ 클러스터링/.. 2021. 9. 6.
쿠키(Cookie) vs 세션(Session) 세션(Session)이란? 웹사이트에 클라이언트(사용자) 요청을 유지하게 하기위해 웹서버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브라우저 종료시(서버와의 연결종료) 까지 세션 ->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그것을 세션이라 한다. 쿠키(Cookie)란? 웹사이트에 접속할때 클라이언트(사용자) 로컬에 저장되는 key-value쌍의 데이터 파일 사용 예시 ID 저장, 로그인 상태 유지 일주일간 다시 보지 않기. 최근 검색한 상품들을 광고에서 추천 장바구니 기능 그럼 왜 쿠키와 세션을 이용할까? 이는 HTTP통신의 특징떄문이다. HTTP통신의 특징 Connectionless(비연결 지향)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응답(Response)을 하고 접속.. 2021. 9.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