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n진수 변환 정리
n진수 -> 10진수 int() 함수 형식과 사용은 아래와 같다. # 형식 int(string, base) # 사용 int('101',2) # 5 int('202',3) # 20 int('303',4) # 51 int('404',5) # 104 int('505',6) # 185 int('ACF',16)# 2767 10진수 -> 2,8,16진수 bin(), oct(), hex() 함수 bin(11) # 0b1011 oct(11) # 0o13 hex(11) # 0xb 10진수 -> n진수 함수가 없기에 코드작성이 필요. def solution(n, q): rev_base = '' while n > 0: n, mod = divmod(n, q) rev_base += str(mod) return rev_base[..
2021. 9. 13.
[DB] DDL, DML, DCL 용어 정리
DDL : Data Define Language 스키마/도메인/테이블/뷰/인덱스를 정의/변경/제거할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 테이블을 생성하고, 테이블 내용을 변경하고, 테이블을 없애버리는 것. CREATE, ALTER, DROP 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 Query(질의)를 통해서 저장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한다. 테이블 안의 데이터 하나하나를 추가하고 삭제하고 수정하는 것. INSERT, DELETE, UPDATE DCL : 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관리 목적으로 보안/무결성/회복/병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데 사용한다. COMMIT, ROLLBACK, GRANT, REVOKE COMMIT : Transaction의 변경 내용을 최종 반..
2021. 9. 7.